본문 바로가기

복권

복권 당첨 시 세금 및 실수령액 정리표 (1등~5등 + 연금복권까지)

반응형

“로또 1등에 당첨되면 정말 20억을 다 받을 수 있을까?”
복권은 당첨만큼 중요한 것이 ‘세금’입니다. 금액별로 세율이 다르고, 수령 방식에 따라 실수령액도 크게 달라지는데요. 이번 글에서는 로또복권과 연금복권의 당첨 금액별 세금 및 실수령액을 정확하게 정리해드립니다.


✅ 1. 복권 당첨금 세율 기준 (2024년 이후 기준)

당첨금 구간 적용세율 세금 종류 
5만 원 이하 과세 없음 비과세
5만 원 초과 ~ 3억 원 이하 22% 소득세 20% + 주민세 2%
3억 원 초과 33% 소득세 30% + 주민세 3%

💡 복권 당첨금은 **“기타소득”**으로 분류되어, 당첨 시 세금이 자동으로 원천징수됨. 따로 종합소득세 신고는 대부분 불필요.


✅ 2. 로또복권 당첨금 실수령액 정리표

등수 평균당첨금 (원) 세율 실수령액 (원)
1등 2,000,000,000 (20억) 33% 1,340,000,000 (13.4억)
2등 50,000,000 22% 39,000,000
3등 1,500,000 22% 1,170,000
4등 50,000 비과세 50,000
5등 5,000 비과세 5,000

📌 참고

  • 1등은 ‘회차별 1등 인원 수’에 따라 금액이 달라짐
  • 위 수치는 평균적인 수치로 회차마다 당첨금 차이 있음


✅ 3. 연금복권 720+ 당첨 시 세금 & 수령액

등수 지급 방식 월 지급 액 기간 총 지급액(전) 실수령액(후)
1등 매월 지급 700만 원 20년 (240개월) 16.8억 13.6억 (22% 세금 공제)
2등 일시 지급 1억 원 1회 1억 7,800만 원 (22%)
3등 일시 지급 1천만 원 1회 1,000만 원 780만 원
4등 일시 지급 100만 원 1회 100만 원 78만 원
5등~7등 5만 원 이하 비과세 전액 수령 가능    

✅ 1등은 매월 지급 방식이기 때문에, 고액 과세 구간에 들어가지 않아 22%만 공제됨.
또한, 월 지급방식은 지출 관리 측면에서 실용적이라는 평가도 많음.

반응형


✅ 4. 로또 당첨 세금 관련 Q&A

Q. 세금 신고 따로 해야 하나요?

→ 아니요. 자동 원천징수되기 때문에 별도 신고 불필요 (단, 3억 이상 고액자산가는 자산 변동 신고 필요할 수 있음)

Q. 세금 외에 또 내야 하는 비용 있나요?

아니요. 복권 세금은 소득세+주민세만 적용. 증여세, 상속세 등은 무관.

Q. 연금복권은 월세금도 빠지나요?

→ 네. 매월 22% 공제 후 입금됩니다.

 

전국 로또 명당 판매점 리스트 TOP20 (지역별 정리 & 당첨 특징 분석)

로또복권 1등 당첨자들이 자주 나오는 장소, 소위 ‘명당’이라 불리는 복권 판매점들이 있습니다. 전국 각지에 위치한 이 명당들은 단순한 소문이 아닌, 실제 1등 당첨자를 다수 배출한 이력으

gogoissue.co.kr

 


✅ 5. 복권 당첨 시 유의사항

  • 실명 확인 필수: 타인 명의로 당첨금 수령 불가
  • 복권 원본 필요: 분실·훼손 시 지급 불가 (QR코드 스캔 추천)
  • 6개월 이내 수령하지 않으면 무효 처리
  • 1등 당첨자 전용 금융 컨설팅 제공 (농협은행 기준)
 

로또 당첨금 가족에게 나눠줄 때 세금? 증여세 주의사항과 절세팁

로또에 당첨되는 것은 누구에게나 큰 행운입니다. 하지만 1등 또는 고액 당첨 시 가족이나 친구와 당첨금을 나누는 경우, 세금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 많은 사람들이 이럴 때 양도소득세가

gogoissue.co.kr

 


✅ 마무리: 복권도 결국은 세후가 중요하다

로또 1등에 당첨되면 20억! 하지만 실수령액은 약 13.4억에 불과합니다.
복권을 구매할 때는 ‘실제 손에 들어오는 돈’을 기준으로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습니다.
그리고 1등 당첨 시엔 흔들리지 않고, 조용하고 신중하게 움직이세요. 그것이 진짜 행운의 시작입니다.

 

👉 다음 편에서는, 연금복권 일시수령 vs 월지급 방식 중 어떤 게 유리한지 비교해드릴게요!

반응형